1. 개요
테슬라는 과연 어디까지 성장 할 수 있는가?
얼마나 주가가 상승 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려면, 테슬라 보다 시가총액이 큰 기업들 중에서, 테슬라와 비슷한 기업의 과거 데이터를 살펴봐야 한다.
2. 테슬라와 비슷한 기업, 아마존과 비교
전기자동차라는 새로운 시장에서, 제조업 분야의 수직계열화를 달성하고 매년 13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생산하는 테슬라와 비슷한 기업은 없다.
다만, 독과점 성격으로 시장을 장악하여 매출을 올리는 빅테크 기업들 중에서, 아마존은 테슬라와 비슷하다.
(1) 천재적인 CEO를 보유 : 제프 베조스와 일론 머스크의 비전과 리더십은 비슷하다.
(2) 해당 산업에서의 혁신 : 아마존은 온라인 쇼핑을 혁신하고, 클라우드 시장과 스마트 홈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다. 테슬라는 자동차 산업을 혁신하고, 에너지 저장 시장과 자율 주행 및 보험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 한다.
(3) 고객 중심의 가치관 : 아마존은 고객 경험을 중심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배송과 다양한 제품을 추구하였다. 테슬라는 마켓팅에 비용을 지출하지 않는다.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고객을 매혹할 뿐이다.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기술혁신에 힘쓴다.
(4) 파괴적인 비즈니스 모델 : 두 회사는 기존 산업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는, 레거시 기업들을 혼란에 빠뜨릴 정도의 파괴성을 갖추었다.
대규모 물류로서 효율적이고 비용적인 공급망을 구축한 아마존과 기존 대리점, 딜러마진과 광고비 절감을 통한 판매모델, 제조 분야 수직계열화를 구축하여 자동차 시장을 파괴한 테슬라를 비교하는건 적절해 보인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2018년 1월의 아마존과 2023년 1월의 테슬라가 비슷하다.
현재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579bn이고, 아마존의 2018년 초 시가총액은 $595bn이다.
3. 테슬라 아마존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18년 2월에 SEC에 제출된, 아마존의 2017년 Annual Report 10-K 살펴보면, 2015, 2016, 2017 최근 3개년도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다음과 같다.
마찬가지로, 2023년 1월에 SEC에 제출된, 테슬라의 2022년 Annual Report 10-K에 따르면, 2020, 2021, 2022년도까지 최근 3개년도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알 수 있고 다음과 같다.
3.1 매출액
매출 사이즈는 당시 아마존이 압도적이다. 2017년 아마존의 매출액은, 2022년 테슬라의 매출액보다 대략 218% 더 크다.
하지만 성장률은 테슬라가 앞선다. 2015년부터 아마존이 매출액 성장률이 30% 수준이었던 반면, 테슬라는 최근 3년동안 매출액 성장률이 70, 50% 성장하였다.
3.2 영업이익
매출액이 큰 것만큼 아마존의 영업이익은 높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현재 테슬라의 영업이익이 당시의 아마존을 크게 앞선다.
2022년 테슬라의 영업이익은 2017년 아마존의 영업이익보다 332% 크다.
영업이익 성장률 또한, 아마존은 당시 YOY로 87.5%, -1.9%로 성장 후 후퇴했고, 반면에 227%, 109%로 테슬라의 영업이익은 매년 성장하였다.
3.3 순이익
당시 아마존의 경우보다 테슬라의 순이익은 415% 크다.
매년 순이익 성장률 또한 아마존의 297%, 27% 보다 테슬라는 554%, 123%으로 성장하였다.
4. 생각해볼 점
이전에 현재 시가총액 1위인 애플과 테슬라를 비교하였었는데, (정해진 미래, 시가총액 1위 테슬라 작성글 링크)
미국에서 독점 기업으로서 지난 10년간 성장한 아마존을 테슬라와 비교하였다.
시장에서 인정하는 아마존의 기업가치를 고려하여, 당시 시점의 아마존의 성장성과 현재 테슬라의 성장성을 비교하면, 매출액은 아마존이 크고, 이익률은 테슬라가 크다.
이 의미는 단순하다. 아마존은, 시장을 독점하기 위해, 이익을 포기하고 점유를 확보하고자 노력하였고 테슬라는 현재까지는 높은 이익을 추구하고 있단 점이다. 높은 마진은 많은 캐쉬로 돌아온다.
최근 발표한 마스터 플랜 3의 자본할당에서 보이듯이, 테슬라가 쌓아놓은 현금은 대량생산을 위해 쓰여질 것이다.
2023년 들어서 테슬라는 차량 가격을 인하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전세계에 걸쳐서 전기차 시장에서 치킨게임이 발생하고 있다.
테슬라는 이러한 치킨게임속에서 시장을 독점 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런 테슬라의 전략이 통한다면, 앞으로 테슬라의 영업이익은 감소하고 매출액은 증가할 것이다.
시장을 독점한다면, 월 구독경제인 FSD와 테슬라 보험을 통해 영업이익은 증가할 것이다.
2023년 이후, 테슬라의 대차대조표가 예상한데로 변해 간다면, 주가 또한 과거의 아마존처럼 따라서 흘러갈 것으로 생각된다.
'테슬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의 치킨게임 (0) | 2023.03.21 |
---|---|
테슬라의 자율주행은 언제부터 가능할까? (0) | 2023.03.20 |
테슬라 파워월 (0) | 2023.03.15 |
테슬라 새로운 글라스 루프 출시 (0) | 2023.03.11 |
테슬라 데이터 보안정책 : 표준을 뛰어넘은 정보보호 (0) | 2023.03.10 |